9.7 공급대책 중 토지거래허가구역을 국토부에서 지정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규제지역으로 묶여 있는 강남3구, 용산 보다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제외 되어있는 마포, 성동, 광진, 강동 등의 상승세가 무섭다.
아니 상승세라기 보다는 폭등장에 가깝다. 하루 이틀 사이에 호가 1억씩올리는 건 기본이고,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지정되기 전에 빨리 잡기 위해서 갭투자가 성행한다.
조급한 마음에 높은 가격에 갭투자를 하면 실입주를 원하는 올라간 가격에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다.
마포, 성동 등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곧 아마도 추석 전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이 되면 어떻게 될까?
바로 인근 지역으로 상승세가 번져 나갈 것이다.
이는 곧 부동산 상승의 불씨를 한강 벨트에서 인근 지역으로 또 다시 인근 지역에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정하면, 다시 수도권 다른 지역으로 번져나갈 것이다.
소시민으로서 당부한다.
차라리 서울 전역과 수도권 남부 전체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모두 묶는 것을 권한다. 자본주의 시장을 지지하는 사람으로 재산권을 침해하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선호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현재의 수도권 서울 공급 부족이 예견되는 시점에서 서울 전역의 조급한 투자 수요를 막지 않으면 폭등장의 도래는 불 보듯 뻔한 상황으로 보인다.
서울 전역과 수도권 남부 전체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어 오히려 그 외 지방 부동산의 활기를 가져오는 것이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