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 – 2024년 10월
2024년 10월 부동산 지표를 분석함으로써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에 대해 알아보자.
살펴 볼 지수는 아래 목차와 같다.
매매수급동향
매수우의의 시장인지 매도우위의 시장인지 알 수 있는 지표이다. 0~200 까지의 값을 나타내며 100이 넘을 경우 매도 우위의 시장 (즉 주택을 구입하려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다.)
24년 1월 82.8 point 이후 지속 상승하여 7월 최고치 104.2 point 기록 후 하락하여 10월 기준 101point
매매가격지수
2021년 6월 28일 기준 시점(100 point)으로 하여 조사 시점의 가격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부동산 가격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실거래를 기반으로 매물정보, 시세정보, 부동산중개업소 의견등을 종합적으로 참고하여 자료 산출한다.
24년 2월 93.9 point 이후 지속 상승하여, 10월 기준 98.31 point
아파트매매거래량
전반적인 부동산 가격의 변동을 예상해 볼 수 있다. 거래량이 많으면 가격 상승, 적으면 가격 하락의 가능성이 높다. 상승기 서울의 아파트매매거래량은 4천 건 이상의 지속적인 추세 상승이 있다.
23년 12월 1,790건 이후 지속 상승하여, 4월 4천건을 넘어 7월 기준 9,518건으로 최고치를 찍고, 10월 4,000건으로 추세 상승을 나타냄
미분양
전국 미분양 수가 6만호를 넘으면 주택 가격이 하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국 미분양은 10월 기준 65,836호로 전월 66,776호대비 1.4% 감소
수도권 미분양은 10월 기준 13,948호로 전월 13,898호 대비 6.1% 증가로 미분양 호가 증가 추세
이상으로 2024년 10월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매매수급동향은 101point로 100point를 넘어 매도우위시장이며, 매매가격지수도 2월 이후 지속 증가 추세이다. 거래량 또한 4000건을 넘어 상승 국면이나 상승의 엔진은 주춤한 상승을 나타내고 있다.
기준금리가 낮아지나 스트레스 DSR로 대출 한도를 옥죄고, 가산 금리 상승으로 실질 대출금리의 상승 영향, 그리고 국내 경제 성장률 감소가 서울 아파트 가격의 상승 동력을 감소 시킨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최신 자료를 보려면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과 국토교통부 보도자료를 참고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