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부동산 지표로 보는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 - 2025년 5월

[건부기] 지표로 보는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 – 2025년 5월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 – 2025년 5월

메인그림

2025년 5월 부동산 지표를 분석함으로써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에 대해 알아보자.

살펴 볼 지수는 아래 목차와 같다.

 

매매수급동향

매수우의의 시장인지 매도우위의 시장인지 알 수 있는 지표이다. 0~200 까지의 값을 나타내며 100이 넘을 경우 매도 우위의 시장 (즉 주택을 구입하려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다)

전월 98.6 Point 대비 증가하여, 당월 100 Point

매매수급동향 1

 

매매가격지수

2021년 6월 28일 기준 시점(100 point)으로 하여 조사 시점의 가격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부동산 가격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실거래를 기반으로 매물정보, 시세정보, 부동산중개업소 의견등을 종합적으로 참고하여 자료 산출한다.

4월 상승폭이 감소하였으나 5월 다시 증가하여 100.88 Point

매매가격지수 1

 

아파트매매거래량

전반적인 부동산 가격의 변동을 예상해 볼 수 있다. 거래량이 많으면 가격 상승, 적으면 가격 하락의 가능성이 높다. 상승기 서울의 아파트매매거래량은 4천 건 이상의 지속적인 추세 상승이 있다.

3월 부터 감소하여 당월 7,221호

매매거래량 1

 

미분양

전국 미분양 수가 6만호를 넘으면 주택 가격이 하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국 미분양은 5월 기준 66,678호로 전월 67,793호 대비 1.6% 감소

수도권 미분양은 5월 기준 15,306호로 전월 15,905호 대비 3.8% 감소로 전국/수도권 미분양 호가 감소추세

미분양 1

 

 

이상으로 25년 5월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거래량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모든 지표가 서울 아파트 가격의 상승을 나타낸다. 거래량의 감소는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 재 지정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되어진다.

5월은 전월의 상승 분위기를 이어간다. 특히 강남3구/용산 토지거래허가구역 재 지정에 따른 마포,성동의 풍선효과 현상으로 풀이되며 6월 대선 이후 기대감으로 현재 그 상승폭은 더 커져가고 있다. 6월 27일 가계부채 대책이후 잠시 주츰하는 모습이나 마포, 성동 밑의 급지에서 추격이 일어나 지속적인 상승을 가져갈지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

 

최신 자료를 보려면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국토교통부 보도자료를 참고하길 바란다.

Must Read
Related New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