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월 부동산 지표를 분석함으로써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에 대해 알아보자.
살펴 볼 지수
매매수급동향
매수우의의 시장인지 매도우위의 시장인지 알 수 있는 지표이다. 0~200 까지의 값을 나타내며 100이 넘을 경우 매도 우위의 시장
24년 1월 82.8 point 로 23년 9월 89.7 point로 정점을 찍고 지속적으로 매수 우위의 시장세
![[건부기] 지표로 보는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 - 2024년 1월 2 매매수급동향](https://rohw.co.kr/wp-content/uploads/2024/03/매매수급동향-1024x290.jpg)
매매가격지수
2012년 6월 28일 기준 시점(100 point)으로 하여 조사 시점의 가격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부동산 가격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실거래를 기반으로 매물정보, 시세정보, 부동산중개업소 의견등을 종합적으로 참고하여 자료 산출한다.
24년 1월 94.1 point로 전월(94.2 point) 대비 0.1 point 감소, 23년 11월 이후 감소세
![[건부기] 지표로 보는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 - 2024년 1월 3 매매가격지수](https://rohw.co.kr/wp-content/uploads/2024/03/매매가격지수-1024x291.jpg)
주택매매거래량
전반적인 부동산 가격의 변동을 예상해 볼 수 있다. 거래량이 많으면 가격 상승, 적으면 가격 하락의 가능성이 높다. 상승기 서울의 주택거래량은 6천건을 상회한다.
24년 1월 4,699건, 23년 9월 이후 지속적으로 6천건 아래를 기록 중이다.
![[건부기] 지표로 보는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 - 2024년 1월 4 주택매매거래량](https://rohw.co.kr/wp-content/uploads/2024/03/주택매매거래량-1024x291.jpg)
미분양
전국 미분양 수가 6만호를 넘으면 주택 가격이 하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국 미분양은 1월 기준 63,755호로 전월 62,489대비 2% 증가
수도권 미분양은 1월 기준 10,160호로 전월 10,031호 대비 1.3% 증가로 미분양 호가 증가 추세임을 알 수 있다.
![[건부기] 지표로 보는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 - 2024년 1월 5 미분양](https://rohw.co.kr/wp-content/uploads/2024/03/미분양.jpg)
결론!!
매매수급동향, 매매가격지수는 감소하였고, 주택매매거래량은 전월 대비 소폭 상승하였으나 6천건을 미치치 못한다. 또한 미분양은 증가추세임이 분명하다. 1월의 서울 아파트 매매 동향은 하락세임이 분명해 보인다.
최신 자료를 보려면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과 국토교통부 보도자료를 참고
